본문 바로가기

투자

4. 코린이 & 주린이면 무조건 알아야 하는 코인·주식 용어 20가지

반응형

 

📌 코인 관련 용어 (10가지)

1️⃣ 블록체인 (Blockchain)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블록"이라는 작은 단위로 묶어 저장하고, 이를 "체인" 형태로 이어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모든 거래 정보를 공개된 장부처럼 기록하여, 탈중앙화된 안전한 거래를 가능하게 만듭니다. 대표적으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암호화폐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2️⃣ 시가총액 (Market Cap)

시가총액은 특정 코인의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현재 코인의 가격과 유통량을 곱한 값입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의 가격이 5만 원이고 유통량이 100만 개라면 시가총액은 500억 원입니다. 이 지표는 해당 암호화폐의 시장에서의 크기를 나타내며, 시가총액이 클수록 안정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알트코인 (Altcoin)

알트코인은 "Alternative Coin"의 줄임말로, 비트코인을 제외한 다른 암호화폐를 일컫습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등이 있습니다. 알트코인은 비트코인의 대안으로 등장했으며, 다양한 기술적 특징을 지니고 있어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4️⃣ NFT (Non-Fungible Token)

NFT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 주로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술 작품, 음악,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각 NFT는 고유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다른 NFT로 교환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아트워크에 대해 NFT를 발행하여 소유권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5️⃣ 디파이 (DeFi, Decentralized Finance)

디파이는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인 금융기관 없이도 암호화폐를 활용한 거래, 대출, 예금 등이 가능합니다.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코인을 예치하고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포함됩니다.

 

6️⃣ 스테이킹 (Staking)

스테이킹은 일정량의 코인을 특정 플랫폼에 예치하고, 그 대가로 보상을 받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2.0에서는 이더를 스테이킹하여 네트워크의 운영에 기여하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추가 이더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은행에 돈을 예치하고 이자를 받는 방식과 비슷합니다.

 

7️⃣ ICO (Initial Coin Offering)

ICO는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초기 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코인을 발행하고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주식의 IPO(상장공모)와 유사하지만, 주식이 아닌 암호화폐를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ICO는 투자자에게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8️⃣ 토큰(Token) vs. 코인(Coin)

코인은 자체적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화폐입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이 코인에 해당합니다. 반면, 토큰은 다른 블록체인 위에서 실행되는 암호화폐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실행되는 토큰(ERC-20 토큰)이 대표적입니다. 토큰은 특정 플랫폼 내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역할을 합니다.

 

9️⃣ 핫월렛 (Hot Wallet) / 콜드월렛 (Cold Wallet)

핫월렛은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지갑입니다.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하지만 해킹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콜드월렛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오프라인 지갑으로, 보안성이 뛰어나지만 거래 시에는 연결이 필요합니다.

 

🔟 김프 (김치 프리미엄)

김프는 한국 거래소에서 암호화폐 가격이 해외 거래소보다 비쌈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한국에서 암호화폐에 대한 수요가 높기 때문에 가격 차이가 발생하며, 이 차이를 김치 프리미엄이라고 부릅니다.


📌 주식 관련 용어 (10가지)

1️⃣ PER (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PER은 주식의 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하는 지표로,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1000원이고 순이익이 100원이라면 PER은 10입니다. PER이 낮으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주식으로, 높은 PER은 고평가된 주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2️⃣ PBR (Price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자산 대비 주식의 가격을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1000원이고 순자산이 500원이라면 PBR은 2입니다. PBR이 1보다 낮으면 주식이 자산가치보다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3️⃣ 배당금 (Dividend)

배당금은 기업이 이익을 주주들에게 분배하는 현금을 의미합니다. 주식 투자자는 배당금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로 안정적인 기업에서 배당금을 지급하며, 배당금을 선호하는 투자자도 많습니다.

 

4️⃣ 우량주 (Blue Chip Stock)

우량주는 안정적이고 성장이 꾸준한 대형 기업의 주식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우량주로 꼽힙니다. 이들 기업은 재무 상태가 좋고, 배당을 지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5️⃣ 성장주 (Growth Stock) vs. 가치주 (Value Stock)

성장주는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아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의 주식입니다. 반면, 가치주는 현재 가격이 낮고, 미래 성장 가능성에 비해 저평가된 기업의 주식을 말합니다. 성장주는 높은 리스크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가치주는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합니다.

 

6️⃣ IPO (Initial Public Offering)

IPO는 기업이 주식을 처음으로 공개하여 상장하는 과정입니다. 기업은 IPO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는 기업의 성장 가능성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얻습니다.

 

7️⃣ 호가창 (Order Book)

호가창은 주식의 매수·매도 주문이 나열된 창으로, 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가격 변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재 거래되는 가격과 거래량을 확인하고, 매수 또는 매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8️⃣ 하락장 (Bear Market) vs. 상승장 (Bull Market)

하락장은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시장을 의미하며, 상승장은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시장을 의미합니다. 각각 곰 시장, 황소 시장이라고도 불리며, 하락장에서는 투자자들이 공포에 빠지고, 상승장에서는 기대감으로 인해 주식 가격이 급등할 수 있습니다.

 

9️⃣ 서킷 브레이커 (Circuit Breaker)

서킷 브레이커는 주가가 급락할 경우, 거래소에서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지하는 안전장치입니다. 주식 시장에서 예상치 못한 급락이 발생하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거래가 중단되고,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공매도 (Short Selling)

공매도는 주식을 빌려서 팔고, 주가가 떨어지면 다시 사서 차익을 남기는 거래 방식입니다. 주식의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할 때 사용됩니다. 공매도는 리스크가 크지만, 시장에서 하락장에 이익을 볼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반응형